직장생활30 이직을 해도 같은 문제가 반복될 때 이직을 해도 같은 문제가 반복될 때 대학을 졸업하고, 꽤 다양한 곳들에서 일을 해왔고, 다양한 곳들에서 일을 한 만큼 다양한 문제들을 겪어보았다. 처음 직장에선 이 직장환경이 이상하다고 여기며 하루 빨리 경력을 쌓고 다른 곳으로 가보자라는 생각이 강했었다. 그래서 어렵사리 다른 곳으로 1차 이직을 하였다. 자, 조금 더 좋은 환경으로의 이직이니 이전에 있었던 문제들이 사라지고 좋은 것들을 배워보자! 라고 다짐했던 것도 잠시, 비슷한 문제들에 다시 부딪히기 시작했다. 공통된 문제들은 "직상 상사"와의 갈등이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부조리한 행동들을 일삼는 상사들을 보며, 지금은 그런 행동들이 통했던 과거가 아닌데 대체 왜 저럴까?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래도 버티는 것이 중요하다는 모든 이들의 조언을 들으며.. 2022. 5. 22. 직장인 스트레스 "일 잘하면 더 준다?" 일을 잘했더니, 일을 더 준다? 안녕하세요, 나니고입니다. 오늘의 직장인 스트레스, "일잘러의 고통"입니다. 직장생활하시면서 일을 좀 더 잘해보려고 다들 열심히 노력해보셨을거에요. 그래서 내가 일을 잘하면 인정받고 승승장구할거야! 라는 기대에 부풀었지만 "일만 늘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이 늘어나는 것이 문제가 되나요?"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일이 많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내가 혼나는 경우"가 늘어난다는 말이에요. 물론 일이 늘어난 만큼 그 모든 일들을 다 잘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보통...일이 계속해서 증가하다보면 할 수 있는 한계에 다다르고 결국 문제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뭐, 당연히 ~사원이 일을 잘 하니깐 믿고 맡기는거야! 라는 이야기가 듣기 좋을지 몰라도, 계속해서 감사합니다만 하고 있다간.. 2021. 9. 17. 직장 스트레스 심각 증상 3가지 이 3가지 증상이 있다면, 심각한 직장 스트레스입니다. "직장"을 검색하면 가장 먼저 연관 검색어로 "스트레스"가 등장합니다. 그만큼 직장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엄청나다는 것을 의미해요. 직장생활 스트레스 요인들이야 많지만 (이전 글들에서 수많이 썼듯) 결국 스트레스가 과중되고 있단 것은 공통적인데요! 단순히 "스트레스 받는다"라는 측면을 넘어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3가지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생각보다 꽤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이니, 해소방법 및 해결방법 등을 꼭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1.주변 환경 변화에 무뎌진다. 첫번째는, "주변 환경 변화"에 무뎌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매일 반복해서 걷는 출근 코스가 있습니다. 혹은, 매일 반복해서 가야하는 코스가 있다고 가정할 때, 이 코스에서 변화.. 2021. 9. 16. 직장인 언어 모음 "넵" 직장에서 가장 많이 쓰는 단어 "넵" 직장생활 속 한 번쯤, 아니 수많은 쓴 단어가 있다. 바로 "넵"이다. "네"라고 하면 뭔가 쎄해 보이고 "넹"이라고 하면 뭔가 장난치는 것 같고 "네에"도 장난치는 것만 같다. 그래서 나온, 어느 정도 가벼움이 있지만 무거움을 놓지않는 중도를 지키는 마법의 단어 "넵"이다. 보고에 대한 답장, 일상적인 메신저 답장 모두 다 넵으로 통일이다. 웃긴 것은 실제 말할 때는 "넵"이 없다. 구두보고 할 때 넵이라고 한다고 생각하면 뭔가 웃기다. 당연히 "네"정도의 선인데, 왜 메신저에선 "넵"이고 말로는 "네"인지 가끔 생각할 때가 있다 (물론 쓸 때 없는 고민..) 처음에는 이 "넵"이라는 단어가 뭐가 그리 중요한지 몰랐는데 실제로 상대가 "네"라고 만 보낼 때와 "넵".. 2021. 9. 15. 이전 1 2 3 4 5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