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45

찐 행복의 2가지 조건 찐 행복의 2가지 조건 행복하다는 것을 넘어, 찐으로 행복하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요즘 들어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주제이다. 매일 똑같은 회사생활에 시달리다보니, 단순히 쉬는 것을 넘어 뭔가 더 강렬한 행복의 요소들을 종종 생각하게 된다. 그렇게 곰곰이 어떤 것을 할 때 행복할까를 생각하다가 나름대로 "찐 행복의 2가지 조건"을 정리해보게 되었다. 1."남"이 말하는 것이 아닌 "내"가 느끼는 행복 첫번째 조건은 남이 좋다고 하는 것이 아닌 내가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여행"을 그렇게 크게 좋아하지 않는다. 물론 여행을 가서 느끼는 다양한 즐거움, 일상에서 벗어난 새로움 등이 좋다고 생각하지만, 남들이 계속해서 여행을 추천하는 것에 비해 내가 느끼는 여행은 "피곤"하다. 보통 여.. 2022. 6. 1.
내려놓음 명언 best "최선을 다해야 가능합니다" 최선을 다해야 진정으로 내려놓을 수 있습니다 내려놓음, 한 번쯤 들어보신 명언입니다. 이전에 한 번 내려놓음이 유행이 되었던 때가 있었죠. 하지만 개인적으로 이 명언은 삶을 살아가면서 평생 기억해야하는 것입니다. 살다보면 버거울 때가 많습니다. 인간관계, 직장생활 등 수많은 것들이 시시각각 우리를 짓누르고 있는데요! 이 때의 핵심은 "기대"입니다. 내려놓지 못하고 계속해서 잡고 있는 이유는 기대와 그로 인한 욕심때문이에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인간관계의 욕심은 크게 "양과 질"로 구분할 수 있어요. 양은 친구의 "수"가 많아야 한다는 욕심과 기대이며, "질"은 친구와의 친밀감, 서로에 대한 배려가 높아야 한다는 욕심과 기대입니다. 친구가 많아야 좋다, 서로 마음을 잘 터놓을 수 있는 친구가 있는게 좋다.. 2021. 10. 1.
행복 명언 "행복은 강도가 아닌 빈도입니다" 한 번의 강한 행복보다 자주 행복을 느껴야합니다. 행복 명언, 그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행복은 강도가 아닌 빈도"라는 말입니다. 보통 우리가 꿈꾸는 행복에는 "~라면"라는 가정이 많습니다. "내가 로또에 당첨된다면", "내가 원하는 직장을 가진다면", "건물주가 된다면" 등의 것들이지요. 이런 행복들은 굉장히 "강한(strong)" 행복들이며, 강한 행복일 수록 일생에서 자주 발생하지 않습니다. 로또당첨은 일생을 살면서 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이죠. 물론,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말 우리가 원하는 강렬한 행복을 얻으며 그 순간은 너무나도 행복하겠지만, 결국 이 행복도 익숙해지기 마련입니다. 익숙해지면 금방 행복이 시들어져 버립니다. 뭔가 허무할 정도로요. 사실 정말 행복해.. 2021. 9. 29.
자존감 낮은 사람의 2가지 특징 제가 자존감이 낮은건가요? 가끔 자존감에 관련된 글들이나 기사를 읽다보면 나의 자존감은 어떻지? 라는 궁금증이 생깁니다. 당연히 이 궁금증에 대한 해답이 "자존감이 높으시네요!"라고 나오기를 은근히 기대하며 글을 읽지요. 다만 생각보다 글에서 말하는 자존감의 기준이 썩 잘 와닿지가 않습니다. 뭔가 중요한 내용인 것 같기는 한데, 이게 나한테 맞는건지 아닌지 도통 애매한 경우가 많은데요, 제가 실제로 겪어보면서 느낀,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 2가지를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첫번째 특징은 "남이 잘 되는 것이 기쁘지 않다" 입니다. 속담에 사돈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단 말이 있듯이 남이 잘되는 것을 정말 기쁘게 보는 것이 사실 쉽지도 않고 자연스러워 보일정도로 자주 볼 수 있는 상황이.. 2021.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