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점3 꾸준함은 그 자체로 강점입니다. 꾸준함은 그 과정 자체로도 강점이 됩니다. 보통 "꾸준하게" 무엇을 하라고 할 땐 목표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수능 만점을 받기 위해 "꾸준하게" 공부해라 등의 이야기이지요. 그래서 보통 꾸준함은 방법적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오늘 드리고자 하는 이야기는 꾸준함 자체입니다. 어떠한 것을 꾸준하게 1주, 1달, 1년 해본다면 꾸준함 그 자체가 결과가 됩니다. 물론 꾸준하게 무엇을 함으로써 얻는 결과들이 있지만 결국 꾸준함은 성실하게 하루하루 지속할 수 있는 힘이 되고 그 힘은 그 자체로 강점이 되어 어떠한 일을 할 때 든든한 기반이 되어줍니다. 그리고 꾸준함이 다시 꾸준함을 낳습니다. 이 말이 이해가 되지 않는 분들, 그냥 꾸준함은 방법적인 요소라고만 생각하시는 분들은, 아직은.. 2021. 9. 27. 편견의 장단점 안녕하세요! 나니고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편견"입니다. 편견은 말 그대로 한 쪽으로 치우진 생각, 견해 따위를 말합니다. 음..우선 편견이란 말을 들으면, 뭔가 종합적이지 않고, 치우쳐 무언가 옳지 못한, 부정적인 느낌이 들지요. 특히 사람에 대한 편견은 타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한 쪽으로만 보게 되어 인간관계를 맺을 때 단점이 있다고 종종 이야기하곤 합니다. 하지만 저는 오늘, 역으로 편견의 장점에 대해서 한 번 이야기해보고 싶어요. 모든 사람들은 살아오면서 경험한 본인만의 편견이 있습니다. 나와 맞지 않은 사람과의 특징, 뭐 예를 들어 ~한 모습이 있던 사람과는 몇번 만나보았는데 늘 잘 맞지않더라 등의 편견이죠. 사실 저는 이렇게 경험으로 만들어진 편견이 오히려, 자신의 삶을 살아갈 때 좋게.. 2021. 5. 12. 누군가의 단점은 나의 단점이다. 안녕하세요! 나니고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단점"입니다. 사람들은 자기만의 "단점"이 있습니다. 남들이 알지 못하지만 나만 아는 단점들도 있고 남들도 다 아는 단점들도 있는 등등 여러가지 단점들이 존재하지요. 다만, 오늘 이야기의 핵심은 타인의 단점을 바라볼 때의 관점입니다. 같이 있는 직장동료의 단점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전부터 알고 지낸 친구들의 단점들도 보이기 시작하죠. 가족들의 단점들도 보이기 시작합니다. 대체 저 사람은 왜 저럴까? 란 생각이 들기도 하지요. 그런데, 여러분, 타인에게서 보는 단점들이 이상하게 거슬린다면 그 단점이 나에게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 지인 중 한 명이 거짓말을 자주 하는 것 같아 기분이 나쁩니다. 그 때, 내 자신이 주변에 거짓말을 자주 하고 있진.. 2021. 4. 5. 이전 1 다음